어린이의 상부 호흡기 감염 중 5~10%를 차지하는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은 성인도 감염될 수 있습니다. 신체 여러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 아데노바이러스의 증상과 치료 및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증상
아데노바이러스는 재채기나 기침할 때 생성된 비말과 배설물, 오염된 표면과의 접촉을 통해 전염되며, 대부분은 스스로 치유되지만 면역 체계가 약화된 사람은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는 감염입니다.
흔히 증상은 감기와 유사하지만 감염 부위에 따라 여러 증상이 나타납니다. 각각의 경우에 따른 증상을 살펴보겠습니다.
-호흡기 감염: 발열, 기침, 인후통, 콧물, 두통, 근육통
-결막염: 결막 충혈, 가려움, 분비물
-위장 감염: 오심, 구토, 설사, 복통
-방광 감염: 배뇨 시 통증, 작열감, 잦은 배뇨, 소변 색이 탁하거나 혈뇨
-기타: 림프샘염, 피부발진 등
경우에 따라 어린이에게 폐렴, 기관지염, 중이염, 축농증, 수막염 등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증상에 따른 적절한 치료와 관찰이 필요합니다.
2. 치료
아데노바이러스를 치료하는 항바이러스제는 따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치료는 대개 열이 나면 해열제를 먹는 등의 증상 완화를 위한 치료이고 합병증 예방에 중점을 둡니다. 결막염에 걸린 경우 세균에 의한 것인지 감별하기 위해 항생제가 포함된 안약을 처방할 수 있습니다.
열, 두통, 근육통 등의 증상에 아세트아미노펜이나 이부프로펜이 사용되며, 항히스타민제는 콧물, 코막힘의 증상을 완화해줍니다. 항생제는 바이러스 감염에 효과가 없어 세균감염이 아니면 사용하지 않습니다. 휴식을 취하고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여 탈수를 예방해줍니다.
보통은 일주일 정도면 증상이 호전되지만, 합병증으로 진행되지 않는지 주의 관찰하여 증상이 악화하거나 호흡곤란이 있는 경우 진료를 봐야 합니다.
3. 예방
아데노바이러스의 예방접종은 없습니다. 따라서 가장 좋은 예방법은 손을 자주 씻는 위생적인 습관입니다. 손으로 얼굴을 만지지 않도록 하고, 기침이나 재채기할 때는 입과 코를 가립니다. 감염증상이 나타난 사람과 접촉을 피하며, 문고리나 수도꼭지, 전등 스위치와 같은 자주 만지는 것은 항균 티슈 등으로 소독합니다.
'질병,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궁내막암 원인, 증상, 치료 (0) | 2023.05.10 |
---|---|
사마귀 부위별 원인, 증상, 치료 (0) | 2023.05.10 |
식물광피부염 원인, 증상, 치료(관리) (0) | 2023.05.05 |
통풍 원인, 증상, 치료 (0) | 2023.05.04 |
당뇨병의 원인, 증상, 치료 (0) | 2023.05.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