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질병, 건강

수술실 – 간호사의 역할, 환경

by 꿈이룰 2023. 3. 21.

1.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

수술실 간호 분야는 소독간호사와 순환 간호사로 나누는데, 소독간호사는 기본 수술 복장 외에 철저한 외과적 손 소독을 하고 소독 가운과 소독 장갑을 착용하는 데 비해, 순환 간호사는 기본적인 수술실 복장만 갖추면 된다.

 

1) 소독간호사(scrub nurse)의 역할

-수술의 해부와 생리, 수술 과정에 대해 명확히 알고 있어야 한다.

-수술에 필요한 멸균된 물품(스펀지, 봉합사, 거즈 등)과 수술기구를 준비한다.

-손 소독, 무균적으로 가운을 입고 장갑을 착용한다.

-수술 부위를 제외하고 소독포로 덮는 것을 돕는다.

-수술 과정에 외과의에게 필요한 기구를 제공한다.

-대상자의 신체 내에 물품이 남아 있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수술 과정 동안 사용된 물품의 수를 확인한다. 특히 순환 간호사와 함께 정확하게 거즈와 바늘과 기구 등의 수를 확인한다.

 

2) 순환 간호사(circulating nurse)의 역할

-수술의 해부와 생리, 수술 과정에 대하여 점검한다.

-수술계획표에 따라 수술방과 수술 장비를 준비한다. 모든 장비가 안전하고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점검한다.

-수술상에 멸균 물품을 공급한다.

-수술 전 과정 동안 대상자의 신체적·정서적 상태를 사정하고 대상자를 안심시킨다.

-적절한 수술 체위를 취하도록 도와주며, 마취 유도기 동안 대상자를 관찰한다.

-수술 중 간호를 계획하고 조정하며 기록한다.

-수술 과정 동안 무균술이 잘 지켜지는지 감독하고 필요한 물품과 기구를 공급한다.

-수술팀과 다른 사람들(가족, 병리과, 방사선과 직원, 병동 간호사)과의 연락을 취한다.

-소독간호사와 함께 3회 이상(수술 시작 정, 추가 공급 시, 수술 부위 봉합 전, 수술 부위 봉합 후, 교대 시) 거즈 수를 확인하고, 바늘과 기구의 수를 확인한다.

-손실된 혈액과 체액을 추정한다.

-수술이 끝난 대상자를 편안하고 안전하게 회복실로 옮긴다.

-회복실 간호사에게 필요한 정보를 인계한다.

-대상자의 상태나 사용 물품 등 필요사항을 기록한다.

-검사나 배양을 위한 검사물을 관리한다.

 

2. 수술실 환경

최신 수술의 경향은 침습적 수술을 가능하면 피함으로써 입원 기간과 회복 기간을 줄이고자 노력한다.

수술실 업무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하고 무균술을 잘 지킬 수 있도록 수술실 규모, 출입구 위치, 지원 서비스 배치 등 물리적 조건들을 조정하고 있다.

 

대상자의 영상자료를 비롯하여 모든 디지털 정보를 모니터에 출력하고 새로운 정보를 입력하거나 통신연결망을 통해 다른 병리학자나 방사선과 의사에게 전달하는 통합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다.

이런 선진기술 도입의 궁극적인 목적은 수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여 더 나은 치료 결과를 얻기 위함이다.

수술실은 크게 비제한 구역(non-restricted area), 준제한 구역(semi-restricted area), 제한 구역(restricted area)으로 나뉜다. 비제한 구역은 수술대상자 대기실이나 직원 탈의실 등으로 외부 복장이 허용된다. 준제한 구역은 물품 공급실과 복도 등이며, 수술실 복장을 하고 모자와 마스크를 착용한다. 제한 구역은 수술방과 그 주변으로 수술복을 착용한다.

 

 

 

수술실을 설계할 때는 효율성과 안전성, 감염조절을 고려한다. 세균의 성장을 억제하고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온도는 20~24를 유지하고 습도는 최소한 50%로 유지한다. 또한 수술실 내 공기를 여과시키고 환기와 냉난방시설을 완벽하게 하여 세균 감염의 우려를 감소시켜야 한다. 수술실의 가구는 청소하기 쉽고 움직이기 쉬우며,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좋다. 수술실의 위치는 통행하는 사람이 비교적 적고, 중환자실과 가까우며, 비상시 대상자 이동 등을 고려하여 고층을 피하고 2층이나 3층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수술실은 전기 장비가 있으므로 화재나 폭발 위험이 있는 환경이다. 수술실 내에서는 비인화성, 비폭발성 물질을 사용하고 절대 금연해야 한다. 수술복은 모직이나 나일론을 사용하지 않고 면직물을 사용하여 정전기 발생을 막고 있다. 수술실 바로 옆에는 소독 물품을 충분하게 갖춘 장소를 마련하여 응급 시에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