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에 따르면 국내 이석증 환자가 꾸준히 늘고 있다고 합니다.
저도 얼마 전 침대에 누워 자려는데 갑자기 더블락스핀을 탄 것처럼 빙글빙글 도는 느낌이 한동안 들다가 괜찮아졌는데, 이석증의 증상이었습니다.
너무 당황스러웠던 이석증의 원인과 증상 및 진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석증 원인
귀의 고막 안쪽에는 평형감각을 느끼는 전정기관과 회전감각을 느끼는 반고리관이 있습니다.
전정기관에는 '이석'이라는 미세한 돌이 있어서 우리의 몸이 기울면 중력의 영향으로 움직이면서 신경을 자극하고,
우리의 몸이 기울었다는 인식을 하게됩니다.
반고리관은 반쪽짜리 고리모양의 관 세 개가 x축, y축, z축처럼 각각 다른 각도로 이루어져 있고 안에는 액체가 들어있어서
우리 몸이 회전할 때 그 방향의 반고리관 안의 액체가 관성의 법칙으로 흐름이 생겨 신경을 자극하고,
우리가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는지를 알게 합니다.
근데 '이석'이 전정기관에서 떨어져 나와 반고리관 안으로 들어가면 이석이 흘러 다니면서 반고리관 안의 회전감각을 자극해서 가만히 있는데도 우리의 몸이 회전하고 있다고 느끼게 하고, 이로 인해 어지러움을 느끼게 됩니다.
'이석'이 떨어져 나오는 이유는 아직 확실하지 않지만, 과도한 스트레스, 외부 충격, 골밀도 감소, 바이러스 감염, 장기간 누워있는 생활, 약물 부작용 등으로 발생하기도 합니다.
여성환자의 비율이 더 높으며, 모든 나이에서 발생할 수 있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더 자주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석증 증상
이석증의 원래 명칭은 '양성 발작성 체위성 현훈'입니다.
심각한 귀나 뇌의 질환이 없이(양성), 빙글빙글 도는 듯한 어지러움(현훈)이 갑자기 나타났다가 사라지고(발작성), 이 증상은 특정 자세에서 발생합니다(체위성).
증상이 나타날 때 머리를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있으면 약 1분 미만으로 지속되다가 괜찮아집니다.
어지러움과 함께 오심, 구토, 두통, 두근거림, 식은땀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주의해야 할 것은 심한 어지러움이 멈추지 않고 오래 지속되거나, 마비 증상이 나타나면 뇌졸중과 같은 질환을 의심해 보아야 합니다.
이석증 진단
증상이 나타났다가 사라지고 항상 나타나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진단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궁금했습니다.
의사에게 증상을 설명하면 우선 중이염의 소견이 없는지 확인합니다.
그 후 딕스-홀파이크(Dix-Hallpike) 검사를 통해 이석증을 진단합니다.
딕스-홀파이크 검사의 방법은 다리를 쭉 뻗고 똑바로 누운 상태에서 눈을 뜨고 있습니다.
의사가 머리를 수평보다 20~30° 뒤로 빠르게 젖히는데, 환자의 눈에서 안진(불수의적 안구 운동)이 나타나고 현기증을 느끼면 이석증으로 진단합니다.
또 다른 진단검사로 롤테스트가 있습니다.
롤테스트의 방법은 똑바로 누워 머리를 한쪽으로 90° 돌린 상태에서 환자의 머리를 반대쪽으로 빠르게 움직였을 때 안진과 현기증이 나타나면 이석증으로 진단합니다.
두 검사 모두 안진을 통해 영향을 받은 귀를 알 수 있으며, 양쪽 모두를 평가하기 위해 방향을 바꿔 테스트하기도 합니다.
이석증 치료
이석증은 보통 치료가 없이도 수주이내에 호전되는 경우가 많고, 후유증이 남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증상이 즉시 좋아지려면 병원에 방문해 진단을 받고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이석증의 치료는 이석 치환(정복)술로 반고리관에 들어간 이석을 다시 전정기관으로 되돌려 놓는 것입니다.
이석이 위치한 반고리관이 어딘지에 따라 방법이 다르므로 진찰을 받은 후 물리치료를 통해 이루어져야 합니다.
환자의 몸과 머리를 특정 방향과 각도로 움직여 이석을 움직여 되돌려 놓는 치료이기 때문에 치료 중 어지러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치료시간은 약 15분 정도이며, 보통 2~3회 치료로 70~90%의 성공률을 보입니다.
이석증은 잘 치유되지만 잘 재발하기도 합니다.
이석증을 얼핏이라도 들었거나
주위에 이석증을 앓았던 사람이 있으면 크게 걱정하지 않겠지만,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에게 증상이 나타나면 많이 당황스러울 텐데
이 글이 많은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질병,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신분열 '조현병', 무서워서 피해야하는 사람들일까요? 증상/편견/치료 (0) | 2023.06.17 |
---|---|
'간이식' 수혜자와 공여자의 수술 후, 장애등급/군면제/회복 (0) | 2023.06.16 |
'중입자 치료' 원리/효과/후기 (0) | 2023.06.15 |
스포츠 탈장, 헬스 탈장 '서혜부 탈장' 원인·증상/치료 (0) | 2023.06.14 |
해독과 미백에 좋은 '글루타치온' 효능·부작용/고르는법/BEST 5 (0) | 2023.06.14 |
댓글